티스토리 뷰

반응형

기업가 정신이란?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기업을 만들고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감이 잘 안 올 수 있으니, 기업가 정신으로 대표적인 인물을 먼저 보시죠.

 

록펠러(John D. Rockefeller) 세계 최고 부자 중 한 명이었죠?

 

유명한 철강왕 카네기(Andrew Carnegie)

 

에디슨(Thomas Edison) 설명이 필요 없지요?

 

미국 자동차 산업을 이끈 포드 자동차사의 핸리 포드(Henry Ford)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Bill Gates) 그리고 스티브 잡스(Steve Jobs)를 꼽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기업가 정신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뭔가를 만들고 팔아서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데요(돈을 어떻게 계속 벌지?). 내가 생각한 제품이나 아이디어가 지속 가능한 것인지 알아볼 수 있는 공식을 소개합니다. 

 

 

재정적 지속 가능성(Financial Sustainability) 체크 공식 - 뭔가를 만들고 지속적으로 팔고 또 팔자!

 

Q(p - c) > F

Q (수량 quantity) : 단위 시간당 판매되는 수량(예:  사과 개수 / 년)

p (판매 가격 price) : 단위별 판매 가격 (예:  50$ / 사과 1개)

c (생산가 cost) : 단위별 생산 가격 (예:  20$ / 사과 1개)

F  (고정가 fixed costs) : 비즈니스 활동을 위한 단위 시간당 비용 예를 들어 건물 월세, 광고비, 급여 등  (예: 400,000$ / 년)

 

그럼 위 공식에 대입을 해 봅시다. 

예를 들어 1년에 사과를 2만 개 생산하고, 판매 가격은 1개당 50$, 생산가는 개당 20$, 고정비는 400,000$ 라고 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재정 지속 가능한 상태 체크 공식

이때 중요한 것은 지속 가능한 재정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투자금이나 부정적인 현금 흐름은 무시하고 단순하게 공식을 사용하셔야 한다고 합니다. 

 

 

아이디어나 상품을 시제품으로 생산하기 전에 먼저 계산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성공하기 위한 기회는 무엇에 달려 있을까요?

- 투자가들?

- 기발한 기술?

- 혁신과 참신함의 정도?

 

일반적으로 덜 위험한 노력(예: 이미 어디에나 있는 프랜차이즈 개설)은 더 낮은 수익을 제공합니다. (뻔한 거 하면 수익도 뻔하다는 소리)

그러나 좀 더 기발하고 상당히 다른 아이템으로 새로운 모험의 성공 확률은 25% - 50% 하는 통계가 있습니다. 

참고들 하시고요.

 

나의 기업가 정신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는 질문들

- 기업가 정신과 다양한 유형의 새로운 기업에 대한 다른 접근 방식은 무엇일까?

- 어떻게 기회를 식별합니까?

- 가장 유망한 기회를 어떻게 선택합니까?

- 어떻게 솔루션 개념을 개발합니까?

- 나의 사업 아이디어가 맞는지 어떻게 테스트합니까?

- 기회를 둘러싼 위험과 불확실성을 어떻게 해결합니까?

- 나에게 온 기회에 대해서 어떻게 다른 사람을 설득합니까?

 

 

 

 

스타트업 - 기술과 기업가 정신 (feat. S-Curve)

기술 변화 속에서 창업 기회 발전되고 고도화된 기술이 반드시 스타트업의 성공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만, 비즈니스 모델 선택, 시장 진입 및 확장 전략 결정등의 다른 모든 요소들을 결합한다

somedaysmile.tistory.com

 

 

 

사회적 기업 - 수익 발생도 가능한가요?

소셜 임펙트 기업을 들어 보신적이 있나요? 혹시 지금 구상하시는 사업 아이디어가 사회에 공헌 사업에 가깝나요? "소셜 임팩트 기업" 또는 "사회공헌 조직"이라는 용어를 검색하면 공식적인 정

somedaysmile.tistory.com

 

 

반응형